충주미덕중학교 로고이미지

이준한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색채이론~
작성자 이준한 등록일 19.04.04 조회수 124

색채

1. 색의 3요소

1) 색상

색상은 빨강 노랑 파랑 등 다른 색과 구별되도록 지어놓은 색의 이름을 말한다.

색상을 스펙트럼의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 색상환이다.

색상의 기본 5색은 빨강(R), 노랑(Y), 녹색(G), 파랑(B), 보라(P)5색이다.

2) 명도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로서 흰색이 10으로 명도가 가장 높으며, 검정색이 0으로 명도가 가장 낮다.

유채색, 무채색 모두에 있다.

3) 채도

색의 맑고 깨끗한 정도를 말하며, 유채색에만 있다.

순색은 그 색 중에서 가장 채도가 높고 어떠한 색이라도 섞을수록 채도는 낮아진다.

2. 색의 혼합

1) 빛의 혼합: 무대의 조명이나 색유리를 통한 빛들은 혼합하면 명도가 높아진다. 이와 같은 혼합을 가산혼합 이라고 하며, 빛의 3원색은 빨강, 녹색, 파랑이고, 모두 합하면 백색광이 된다.

2) 물감의 혼합: 그림물감을 혼합하면 명도, 채도가 낮아진다. 이와 같은 혼합을 감산혼합이라고 하며, 3원색은 빨강, 파랑, 노랑색이고 모두 합하면 검정색이 된다. 색유리나 색 셀로판지를 혼합해도 같은 결과가 되며, 물감의 혼합보다 더욱 채도가 떨어진다.

3) 중간혼합: 둘 이상의 색을 혼합하였을 때 두 색의 평균 명도가 되는 경우를 말한다. 혼합하는 색이 많아져도 같은 결과가 된다.

회전혼합: 둘 이상의 색을 칠한 색 팽이, 회전판 등을 회전시키면 색이 혼합되어 평균명도가 된다.

병치혼합: 서로 다른 색상을 가까이 두었을 때 멀리서 보면 혼합되어 보이게 하는것으로서 직물, 모자이크, 신인상파 작가들의 점묘화가 이에 속한다.

3. 색의 대비

하나의 색이 그 주위의 색의 영향을 받아 색상이나 명도, 채도 등이 달라져 보이는 현상으로서 계속대비와 동시대비가 있다.

색상대비 : 주위 색의 영향으로 색상이 달라져 보임

명도대비 : 주변 색의 영향으로 명도가 달라져 보임

채도대비 : 주변 색의 영향으로 채도가 달라져 보임

보색대비 : 보색이란 색환에서 서로 마주보고있는 색으로서 합하면 검정이 되는 색을 말한다. 이 색은 나란히 놓았을 때 선명도를 높여주어 뚜렷해지고, 화려하게 보이게 하는 색의 대비를 말한다.

면적대비: 같은 색이라도 면적이 넓을수록 채도나 명도가 높아 보이는 것을 말한다.

한난대비 : 따뜻한 색과 찬색의 대비

4. 색의 기능

색에는 여러가지 표정이 있으며, 색깔마다 느낌이 다르다. 배색에 따라 색이 진출, 후퇴, 팽창, 수축하여 보이며, 명시성이 높은 배색도 있고 주목성이 강한 배색도 있다.

1) 색의 진출(팽창)과 후퇴(수축): 따뜻한 색과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은 진출(팽창)해 보이고 명도와 채도가 낮은 색은 차갑게 보이고 후퇴(수축)해 보인다.

2) 색의 명시성: 두 색을 대비시켰을 때 멀리서도 선명하게 보이는 것을 말하며, 두 배색간의 명도 차가 클수록 명시도가 높고, 이것은 주로 교통표지 등과 같은데 많이 쓰인다.

5. 색의 감정

!) 색의 한난: 붉은색 계통은 난색(진출, 팽창색)으로, 청록색 계통은 한색(후퇴, 수축색)으로 보인다.

2) 색의 경중: 가벼운 색(고명도의 색), 무거운 색(저명도의 색)

3) 화려한 색과 수수한색 : 화려한 색(고채도의 색),수수한 색(저 채도의 색)

4) 색의 연상 : 계절을 연상시키는 색으로는 봄-노랑, 여름-초록, 가을-갈색, 겨울-흰색등이 있다.

6. 배색

배색이란 두 가지 이상의 색을 배치시킴으로써 색채에서 오는 느낌을 조절하는 것

1) 색상 차에 의한 배색

색상 차가 큰 배색: 보색이나 보색에 가까운 배색, , 노랑과 남색, 빨강과 청록 등의 배색은 화려하고 자극적이며 강한 느낌을 준다.

색상 차가 중간인 배색: 색상환에서 직각을 이루는 배색으로 노랑과 빨강, 빨강과 보라 등의 배색으로 명도차를 많이 둠으로써 산뜻한 느낌의 배색이 될 수 있다.

색상 차가 작은 배색: 노란과 노랑연두, 노랑과 귤색 등과 같이 같은 색상의 명도차를 둔 배색은 안정되고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2) 명도 차, 채도 차에 의한 배색 : 명도, 채도의 차이가 큰 배색은 눈에 잘 띈다.

이전글 문자디자인 예시
다음글 소묘이론